1부 춤추듯이 경영하라 



- 밸런스 경영 : 춤추듯이 경영하라 

앨빈 토플러는 『부의 미래』에서 ‘변화’와 ‘속도’라는 두 가지 키워드를 제시했다. 변화의 시대, 속도를 내지 않으면 생존을 담보할 수 없다. 하지만 변화의 추세에 맞는 균형 성장이 없으면 수명의 연장은 없다.

- 성공한 CEO들의 비전과 리더십 

리더십은 ‘비전제시’와 ‘통합능력’
동기는 봉급이 아니라 일에 대한 흥미, 미래에 대한 비전, 성취감’
최고경영자의 비전을 보고 모여든다


IBM - 인간경영, 

월마트 - 품질, 고객만족, 생산성 등 '전략요소의 경쟁력 강화', 

스티브 잡스나 빌 게이츠, 패션업계의 루치아노 베네통 - 차별성


어떤 분야에서 경쟁하든지 한 발은 현재, 다른 한 발은 미래를 향해 딛고 있어야 한다


“CEO가 열정을 갖고 개혁의 단계를 밟아가고 있다는 것이 직원들에게 분명히 드러나야 한다”라면서 “고위 관리자 워크숍 때 최고경영자는 제시간에 도착해야 하고 개인적인 휴식이나 외부전화를 핑계로 자리를 뜨거나 해서도 안 된다”
인적자원관리는 기업의 경쟁력을 극대화하는 요인 중 으뜸으로 꼽히는 항목이다. 인적자원관리는 한정된 인력을 어떤 방식으로 가장 적절하게 활용하느냐의 문제이다. 

- CEO처럼 사고하고 행동하라

- 성공? 숫자를 잡아야지! 


- 가치창조는 꾸준한 재창조의 산물 


- 서번트 리더로 거듭나자! 


- 시너지의 원천 ‘균형과 조화’ 


- 직원들의 열정을 높여라 


- 직원이 살아야 회사가 산다


- 속도의 경쟁-항상 빨리 달릴 수는 없다 

- 보이지 않는 1%에 집중하라
1%란 아주 작지만, 가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모든 것들을 감성의 눈으로 바라보라. 그러면 보이지 않는 것들을 충분히 찾아낼 수 있다. 그러면 승리하는 것이다.

- 투명한 기업이 승리한다 

- 창조적인 인재가 돼라


- 한계점을 돌파하라! 
실패한 곳에서 포기하면 곧 실패가 된다. 하지만, 성공을 이룰 때까지 방법을 찾아 밀고 나가면 이것은 실패가 아니다



2부 형식의 틀을 벗어라, 신뢰를 쌓아라! 


- 변화의 시대에 승자가 되자 
매너리즘은 반드시 버려라.

- 고정관념을 뛰어 넘자!


- 혁신에 대하여 
‘세상에 많은 것이 있지만 내 것으로 만들지 못하면 아무것도 아니다’라는 뜻으로 ‘인터널라이제이션’이라는 용어를 썼다. 인터널라이제이션이란 새로움이라는 것이 변화에서 비롯된다면, 창조와 변화는 기존의 것에서도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 정답은 내 안에 있다


- 형식의 틀을 벗어라, 신뢰를 쌓아라! 


- 감성의 시대, 감성으로 거듭나라! 


- ‘감성회사, 감성직원’ 만들기 
감각적이고 이색적인 기업문화는 한결같이 ‘펀(fun)’이라는 공통분모에서 출발한다.
직원들과 유연하게 대면하고 생각을 나누는 것만으로도 기업은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막강한 내부경쟁력을 쌓아올리게 된다. 이것은 미래를 담보하는 일이기도 하다.

- 팀보다 팀워크에 집중하라 


- 동료애와 팀워크는 동반성장의 원동력 
동료를 이해하고 대화하며, 이견을 조율하라.
도요타 사키치죠의 “제발 같이 협력해서 제대로 된 결과를 내라”는 말

- 동료애가 성공 부른다




3부 네 안에 잠든 거인을 깨워라 


- 자기개발을 성공으로 이끄는 비결 
직장인과 학생의 합성어인 ‘샐러던트’라는 신조어가 어느덧 보통명사로 통용되고 있을 정도.
직장인의 80%가 자기계발을 하고 있으며, 하루 평균 1시간 33분, 매달 평균 19만 3,000원 정도의 시간과 비용을 자기계발에 투자하고 있다

- 꼭 책을 읽어야만 하는 이유
습관적으로 책을 읽는 것이 중요하다. ‘무작정’ 읽는 것. 

- 네 안에 잠든 거인을 깨워라 
벤저민 리턴버그는 “자신의 잠재능력을 계발하지 않고 편하게 살아가는 것은 일종의 자살이다”

- 성공으로 가는 습관을 들이자


- 성공플랜부터 정교하게 짜라! 


- 살아남으려면 개혁가가 돼라! 


- 자기 브랜드 관리
자신만의 가치관이 있고, 남이 따라오지 못하는 나름대로 장기와 기술 - 개인의 브랜드화.

- 내 안에 기업가를 세우자!





많은 현인들이 행복해지기 위해서는 자신이 처한 상황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이기적인 마음에서 벗어나 생명체가 갖는 현존적 실재를 인정하라고 설파해왔다. 예컨대 돈을 많이 벌어 행복해지려고 한다면 남에게 돈을 주고, 타인에게 인정받고 따뜻한 정을 느끼고 싶다면 역시 남들에게 인정을 베풀고 정을 주라는 것이다. 하지만 보통 사람들이 이처럼 마음을 비우고 현실을 바라보기란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행복을 만들어가려는 스스로의 노력이 필요하다. 그것들은 예컨대 긍정과 부정 사이에 행복이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 긍정적으로 사고하는 법을 배우는 것, 현실을 회피하기보다는 인정하는 것, 열성을 갖고자 노력하는 것, 그리고 이해와 용서의 마음을 넓히는 것들이 될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