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자고로 보고 싶은 것만 보게 되는 경향이 있다.
모터쇼 ? -> 미녀쇼 !
- 초창기의 자동차는 볼품이 없어서 미녀를 같다 놓았지만 현재 모터쇼에의 미녀는 필수. 조건형성의 결과인 것이다.
대립과정 이론
대립과정 이론이란 어떤 자극에 대한 한 반응이 나타났다가 사라지게 되면, 그 이후에는 자동적으로 처음의 반응과 반대되는 반응이 따라온다는 것이다. 대립과정 이론에서 또 하나 주목할 것은 한 자극에 대한 반응의 크기가, 그 다음에 따라오는 반대되는 반응의 크기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크다.
- 기대말고 다른 관점에서 보는건 어떨까 ?
신경성 질환..
- 아직 일은 일어나지 않았는데 스트레스로 인하여 오히려 질환이 되어버리니..
- 그상태에 헤메이면 결국 스트레스로 인하여 문제를 발생시켜 버린다.
- 불안은 빨리 부딛혀 해결하는것이 답이다.
군대, 감옥에서 폭력행위가 발생하는 원인은 그 환경의 탓이 크다.
- 즉, 어떠한 문제가 환경의 영향에 의하여 발생한다면 그 환경의 변화를 해결해야 하는 경우도 있음을 알자.
이상형과 현실.
해리포터, 스타, 판타지 게임같은 동경물 - 현실에서는 이룰수 없었던 자신의 절대감을 반영하여 열광시키는 하나의 개체로 바라볼 수 있다.
사람은 전능한 무언가를 꿈꾼다.
복수 - 이해받고 싶어하는 행동, 대인관계의 향상성의 시도.
로저스는 상처받은 마음의 치료를 촉진하는 세 가지 중요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unconditional positive regard)', '공감적 이해(empathic understanding)' , 그리고 '솔직성(genuineness)'이다.
강한 사람은 복수할 필요가 없으며, 여린 사람은 이해받기 위하여 복수하는 것.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큰 사고를 겪고난 뒤 의 후유증) 해결.
그 경험을 잘 소화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그 일에 대하여 함께 나누고 위로해 줌으로써 편안하고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그래서 그 사건을 편안하게 다시 경험하도록 해야 한다. 외상과 관련된 자극이 위험하다고 강하게 학습하였으므로, 이 자극이 안전하다는 것을 재학습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것이 바로 편안함 속에서 재 경험하게 하는 목적이다.
'오래된 도서관 (도서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게 생각하라 - 하동식 (0) | 2018.08.17 |
---|---|
★ 결정적 순간의 대화 - 케리 패터슨 (0) | 2018.08.17 |
팀장리더십 - 밥 에덤스 (0) | 2018.08.16 |
1분 자기경영. (0) | 2018.08.15 |
1%의 부자를 잡아라. (0) | 2018.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