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에 대해 반드시 알아야 할 것은, 혁신이 성공하느냐 실패하느냐가 때와 장소와 인식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혁신은 선견지명과 기회주의의 결합이다.


창업초기 회사를 실패로 이끄는 4가지 사고방식

① 일화와 직감: “이것이 대단하다고 나는 생각해. 따라서 모두 그렇게 생각할 거야”
② 그룹사고: “우리 모두 이 제품이 대단하다고 생각해.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이해를 못하는 거야.”
③ 나쁜 유추: “휴대전화가 성공했기 때문에 전자책도 성공할 거야”
④ 상식을 뛰어넘는 생각: “과거의 규칙은 이제 적용되지 않아”


과장 선전은 혁신적인 아이디어에 기회를 주지만 다음과 같은 위험도 따른다.

첫째, 혁신가의 약속과 혁신이 시장과 사회 전체로 퍼지는 속도에 대해 언제나 지나치고 비현실적인 기대를 갖게 한다.
둘째, 광적인 투자 환경을 조성해서 투자에 꼼꼼한 분석이 무시된다.
셋째, 투자 결정의 질이 떨어지고 형편없는 아이디어들도 살아남는다.
넷째, 혁신이 과장 선전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투자자는 손해를 보고 관련자는 일자리를 잃는다.
다섯째 꿈에서 깬 사람들이 혁신에서 달아나고 투자 환경은 적대적이 되어 이제 아이디어가 아무리 좋아도 이 분야에 투자를 하지 않는다.

-> 찰스 맥케이의 『대중의 미망과 광기』에서 묘사된 투자 거품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열풍이 꼭대기를 치달을 때, 회의론자와 현실주의자에게는 아무도 귀를 기울이지 않으며 심지어 재갈이 물려지기도 한다. 그러나 그런 상황에서도 비판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은 무리를 따르는 다른 사람들의 열기를 진정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과도한 낙관열풍을 믿는 것은 혁신을 시장에 이르지 못하게 하는 나쁜 생각의 두 가지 형태이다.
첫째, 한계를 밀어붙이는 위험. 혁신가들은 기술에만 사로잡혀 정말 중요한 것을 잃어버리는 경향이 있다. 그들은 가치를 따지거나 새로운 정도를 따질 때 최종 사용자가 아니라 자기들 기준으로 생각한다.
둘째, 스스로 비추기의 위험. “나라면 이 기술을 쓸 테니까 다른 사람도 그렇겠지”라는 생각은 사람들이 실제로 원하는 것과 혁신가들이 생각하는 것 사이의 괴리이다. 스스로 비추기의 또 다른 위험은 모든 사람이 자신만큼 기술을 잘 알고 새 기술에 쉽게 적응할 것이라고 가정한다는 것이다.
셋째, 사업가의 과신. 자존심 없고 미래를 비판적으로 본 사람 중에 부자가 된 사람은 없다. 하지만 과신에서 비롯된 잘못된 생각은 훌륭한 아이디어라도 실패하게 만들 수 있다.
넷째, 자만과 혁신의 실패. 제품관리자가 잘못된 판단을 내리는 이유는 제품을 자신과 동일시하기 때문이다. 학자가 자신의 이론에 자존심을 걸듯이 혁신가는 자신의 프로젝트에 자존심을 건다. 따라서 자존심을 거는 것과 지나친 낙관이 위험하다는 것을 이해하고 거기에 대처할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그룹사고. 이상이 비슷한 사람들이 공동 목표를 위해 압박을 받으며 일하는 집단은 그룹사고의 영향을 쉽게 받는다. 그룹의 공동 목표 때문에 사람들은 비판적으로 사고하지 않고 그들이 틀렸을지 모른다는 증거들을 인정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사람들이 뚜렷하지 않은 여러 이유로 새 것을 거부한다는 것이다. 모호한 저항의 요인들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관심 없어. 귀찮아. 결론이 뭔데? 이대로 좋아.” 그들은 바꿀 생각이 없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더라도 살던 대로 살고, 일하던 대로 일하고, 쓰던 것들을 쓸 것이다.


성공한 제품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고 밝혔다.

① 시장에서 어느 정도로만 새롭다.
② 시도되고 확인된 기술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③ 비용을 절약하고, 고객의 필요에 맞을 뿐 아니라 기존의 습관을 바꾸지 않는다.

반대로 그들은 최첨단 기술, 확인되지 않은 기술에 바탕을 둔 제품, 추세를 따르는 제품, 특정 수요나 해결책을 생각하지 않고 개발한 제품은 실패하기 쉽다고 밝혔다. 그들은 자신들의 모델이 혁신 10건 중 9건의 성공여부를 맞출 수 있다고 주장했다. 대단한 적중률이다!


조지 화이트와 마거릿 그레이엄은 핵심 기술의 역량과 이것이 사업에 미치는 의미를 살펴서 성공할 혁신을 가려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들은 다음 4가지 성공요소인 혁신의 장점을 찾아냈다.
① 발명의 장점: 현재 사용하는 방법의 한계를 혁신이 제거하는 정도
② 구현의 장점: 발명의 장점을 최대한 드러낼 수 있는 구체화된 모습이 발전된 정도
③ 운영의 장점: 혁신이 기존의 업무를 간단하게 하는 정도
④ 시장의 장점: 위의 장점들이 시장에서 중요한 정도 또는 새 시장을 발굴하는 정도.

애플의 아이팟 MP3의 예를 들어 각각의 4가지 장점을 살펴보자. 첫째, 발명의 장점. 플래시 메모리가 아니라 작은 하드디스크를 사용해서 가지고 다닐 수 있는 노래 수를 훨씬 더 늘렸다. 그리고 10시간 연속해서 음악을 들을 수 있고 금방 충전할 수 있다. 둘째, 구현의 장점. 작고 간단한 터치스크린 휠로 조작하는 메뉴를 써서 노래를 찾기가 쉽다. 셋째, 운영의 장점. 애플은 컴퓨터에서 노래를 쉽게 더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아이튠즈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래를 아이팟에 옮기는 것에 신경 쓸 필요가 없다. 넷째, 시장의 장점. 많은 곡을 담을 수 있고, 작고, 가볍고, 디자인이 뛰어나고, 쓰기 쉽기 때문에 애플은 제품을 고가에 판매할 수 있다.

+ Recent posts